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①《恁堂集》의 경우, 겉表紙를 包含한 版心 一部에 蠹蝕한 곳이 있다.
②《恁堂集》권두에는 이해익(李海翼)·윤희구(尹喜求)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황박연(黃博淵)·고광면(高光冕)·박희철(朴喜喆)의 발문이 있다.
③ 권1·2에 시 178수, 소(疏) 9편, 차(箚) 2편, 권3∼5에 서(書) 12편, 서(序) 7편, 기(記) 3편, 발(跋) 1편, 설(說) 2편, 명(銘) 7편, 잠(箴)·찬(贊)·표(表)·책제(策題) 각 1편, 제문 6편, 애사 1편, 부록은 행장·가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는 대부분이 사직소이나, 「청축관묘무녀소(請逐關廟巫女疏)」는 당시 관성제군(關聖帝君)의 딸이라 자칭하는 여인이 민비로부터 진령군(眞靈君)이라는 호를 얻어 혹세무민하는 행위를 일일이 지적하여 그를 축출하고 기강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한 글이다.
「척사표(斥邪表)」 역시 인륜을 밝히는 것은 가르침의 근본이므로 부자·군신의 직분을 가르쳐 요사스러운 마음이 생기지 않게 다스려야 된다고 주장한 글이다. 「성헌잠(誠軒箴)」에서는 도(道)와 기(器)는 둘이 아니고 하나이며, 정성이 있으면 밝아지고 밝으면 정성이 생긴다고 하였다.
그 밖에도 책제에서는 농사는 양민후생(養民厚生)의 근본이라 하여 그 중요성을 서술하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④ 《恁堂先生實紀》에는 권수에 <目錄>과 <凡例> ․ <恁堂先生世系圖>가 있으며, 권2에는 高光冕이 기록한 高基升 선생의 遺事가 수록되어 있다.
상태 확인 요망.
세로 32.5 cm, 가로 21.6 cm 이내.
* 본 물품은 코베이에서 물품을 위탁 받아 설명, 사진촬영 등을 진행하여 등록된 것으로 낙찰 시 15%(부가세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회원님들께서는 이 점 감안하시고 신중히 구매해주시기 바랍니다.
원활한 경매진행을 위해 모든 질문은 '비공개문의'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상거래등에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반품규정이 판매자가 지정한 반품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배송지역 | 전국※제주권 및 도서산간 지역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배송방법 | 택배, 선불/착불 선/착불3,300원 |
반품기간 |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 반품을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
반품비용 | 원인제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