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① 木版本 [思菴先生文集]은 1648년(인조 26) 朴淳(1523 ~ 1589) 先生의 자손들이 편집·간행하였고, 1857년(철종 8)에 중간되었다.
② [思菴先生文集] 권1∼3에 시 583수, 권4에 계(啓) 2편, 서(書) 2편, 잡저 4편, 비명 7편, 권5∼7에 부록으로 행장 1편, 시장(諡狀) 1편, 신도비명 1편, 교서 1편, 사제문 1편, 봉안문 4편, 축문 2편, 소(疏) 2편, 제문 1편, 찬(贊) 1편, 묘문(廟文) 1편, 서후(書後) 1편, 발(跋) 1편, 시·만사 등이 수록되어 있다.
③ 시는 당시풍(唐詩風)을 따랐다. 시의 양도 상당수에 달하고, 형식에서도 오언고시·칠언고시·칠언절구·오언절구·오언배율 등 다양하다. 「쌍송(雙松)」·「소상야우(瀟湘夜雨)」·「춘일만흥(春日漫興)」등의 감흥시를 비롯해 이이(李珥)·이황(李滉)·정철(鄭澈) 등 명유(名儒) 및 승려들과 주고받은 시가 많으며, 조식(曺植)·기대승(奇大升) 등에 대한 만시(挽詩)도 있다.
④ 계(啓)의 「논윤원형계(論尹元衡啓)」는 윤원형 거세의 결정적 역할을 한 계문이다. 왕실과의 척분을 기화로 전권을 휘두른 윤원형의 비리를 파헤치고 윤원형의 축출을 건의하고 있다. 서(書)의 「답이이율곡서(答李珥栗谷書)」는 이이와 이기론(理氣論)을 논의한 것이다. 「퇴계선생묘지명(退溪先生墓誌銘)」은 이황의 일대기를 기록해 놓은 것이다.
⑤ 부록의 교서는 저자의 좌의정 사직소(辭職疏)에 대한 선조의 불윤비답(不允批答)으로 이이가 찬(撰)한 것이다. 사제문은 1713년(숙종 39) 저자를 봉안한 옥병서원(玉屛書院) 사액 시 숙종이 내린 것이다.
⑥ 이 밖에도 『국조보감(國朝寶鑑)』·『홍재전서(弘齋全書)』·『조야기문(朝野記聞)』 등의 기록과 이황·이이·백인걸(白仁傑) 등 제가(諸家)의 서간문·상소문 등의 기록 가운데서 저자에 관한 사항을 추려서 모은 『제가기록』이 있다.
또한 구희직(歐希稷)·성헌(成憲)·왕새(王璽)·황홍헌(黃洪憲) 등의 명나라 사람이 우리나라에 왔다가 당시 원접사(遠接使)로 있던 저자에게 지어 준 작별시도 있다. 이 시들은 한결같이 저자의 문장과 인품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출처/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思菴先生文集] 第1冊의 卷首題面 右側 下段에 刀割된 痕迹이 있다.
[思菴先生文集] 第2冊의 겉表紙가 나머지 2冊과 다르다. 版本의 크기는 同一하다.
세월의 흐름을 머금고 책에 구김과 얼룩이 있다.
실물 확인 요망.
세로 33.5 cm, 가로 22.3 cm.
* 본 물품은 코베이에서 물품을 위탁 받아 설명, 사진촬영 등을 진행하여 등록된 것으로 낙찰 시 15%(부가세 별도)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회원님들께서는 이 점 감안하시고 신중히 구매해주시기 바랍니다.
원활한 경매진행을 위해 모든 질문은 '비공개문의'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전자상거래등에서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반품규정이 판매자가 지정한 반품 조건보다 우선합니다.
배송지역 | 전국※제주권 및 도서산간 지역은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배송방법 | 택배, 선불/착불 선/착불3,300원 |
반품기간 | 수령일로 부터 7일 이내에 반품을 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
반품비용 | 원인제공자 부담을 원칙으로 합니다. |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