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 데일리경매 02-738-1268 (평일 10:00 ~ 17:00)
- 삶의흔적경매 02-738-0552 (평일 10:00 ~ 17:00)
- 주말 및 공휴일은 휴무입니다. (점심 12:00 ~ 13:00)
물품 크기 | 20.5×31cm | ||||
---|---|---|---|---|---|
제조국 | 조선 |
조선 중기의 대학자인 장흥효(張興孝)선생의 경당문집(敬堂文集) 4권2책 완질
경당문집(敬堂文集) 조선 중기의 학자인 장흥효(張興孝,1564~1633)의 시문집으로목판본이며 4권 2책
(본집 2권 1책, 속집 2권 1책)이다.
본집은 외손자 이휘일(李徽逸)이 편집, 1693년(숙종 19)에 이현일(李玄逸)이 간행하였고,
속집은 1818년(순조 18) 후손 상규(相奎)가 편집, 간행하였다.
원집은 권두에 권유(權愈)의 서문과 권말에 이현일의 발문이 있고,
권1·2에 시 26수, 부 1편, 사(辭) 2편, 소 1편, 서(書) 6편, 답문 4편, 증언(贈言) 5편, 제문 2편, 변(辨) 1편, 잠 2편,
록(錄) 2편, 습유 3편, 일기요어(日記要語) 1편, 도(圖) 1편, 부록으로 행장·언행록·묘지명·봉안문·축문 각 1편,
끝에 〈장처사시 張處士詩〉 4수가 있다.
속집은 권두에 김굉(金굉)의 서문이 있고,
권1·2에 시 33수, 서(書) 1편, 제문 4편, 잡저 4편, 부록으로 만사 6수, 제문 6편, 묘갈명·언행습유 각 1편,
기·변·발 각 2편, 상량문 2편, 유묵 2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학문의 내용을 읊은 것이 많다.
〈의상인조대왕소 擬上仁祖大王疏〉는 인조에게 선정을 권유하는 내용이고,
〈일기요어〉는 정구(鄭逑)와 경전·역사·심성·성리·예제·수신·시사 등 학문에 관하여 의견을 교환한 기록이다.
〈무극태극유무변 無極太極有無辨〉은 무극과 태극에 대하여 선도(仙道)와 불교를 비유, 설명한 것이다.
〈일원소장도 一元消長圖〉는 성리학과 역학에 관한 이론과 사상을 적은 것으로 학문적인 가치가 있다.
태극관련 해설 12장의 정밀한 삽도가 들어있다.
그밖에 김성일(金誠一)과 유성룡(柳成龍)의 언행을 기록한 〈학봉 및 서애양선생언행록 鶴峯西崖兩先生言行錄〉이 있다
〈李東吉〉
상태는 최상이다.
<크기> 20.5×31cm
<서지사항>
敬堂先生文集
표제/책임표시사항 : 敬堂先生文集 / 張興孝(1564-1633) 著
판사항 : 木板本
발행사항 : 安東: 城谷齋舍, 純祖 18(1818)
형태사항 : 4卷2冊(本集 卷1-2, 續集 卷1-2) /: 揷圖 , 四周單邊 半郭 21.3×15.6cm, 有界, 10行 19字, 註雙行, 上下內向二葉花紋魚尾
주기사항 :
刊記: 戊寅(1818)流火開刊于城谷齋舍
序: 上之十九年癸酉(肅宗 19, 1693)九月日資憲大夫刑曹判書兼弘文館大提學藝文館大提學知成均館事同知經筵春秋館事
世子右副賓客權愈(1633-1704)序
跋: 外孫李玄逸(1627-1704)謹書
續集序: 辛未(1811)仲秋節後學聞韶金㙆(1739-1816)謹序
續集跋: 黃虎(戊寅, 1818)巧夕節後學 柳範休(1744-1823)敬書
附: 光風亭重建記, 歲丙申(1836)十月…李秉遠(1774-1840)謹記.- -
光風亭重建上樑文, 上之四年戊戌(1838)四月柳致明(1777-1861)謹述.- - 遺墨(3張)
揷圖: 一元消長圖(12張)
日本大阪府立中之島圖書館 소장본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에서 조사한 자료임
敬堂集 表題
발간장소인, 안동 성곡재사(城谷齋舍)
영수증발행 : 온라인현금영수증(소득공제용 / 지출증빙용)
영수증신청 : 수령확인시에 개인소득공제용 또는 사업자회원님의 지출증빙용(세금계산서대체)으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주)코베이옥션에 등록된 상품과 상품내용은 개별 판매자가 등록한 것으로서, ㈜코베이는 중개시스템만 제공하며 해당 등록내용에 대하여 일체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판매자가 사업자회원이 아닌 개인회원의 경우 판매자 정보는 [코베이옥션 결제처리] 이후 판매자의 연락처 등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즉시 제공하게 됩니다.
코베이옥션은 구매안전서비스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서비스 가입사실 확인